데이터 타입의 종류를 설명하자면 원시 , 참조 타입이 있다.
원시 타입은 쉽게 말해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let number =5;
let str = "안녕" 이런 것처럼 말이다.
참조 타입은 두개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이제 실제로 작성해보겠다.
먼저 js_data.js 파일을 만들어준다.
추가로 다음과 같은 코드를 짜고 메인 html에 스크립트를 불러주고
홈페이지 로딩후 개발자 모드로 콘솔에서 확인한다.
이렇게 콘솔에 보이는걸 볼 수 있다. 여기서 undefined 와 null의 차이가 있는데
undefined는 스크립트에서 자동으로 생성한 비어있는 값인데
null은 직접 값을 부여한 것이다.
즉, 빈 칸을 그냥 빈 칸으로 둔 것과 빈 칸에 "없음"표시를 해둔 것이다.
다음은 참조 타입인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후 실행해보면
이런 결과가 보인다.
여기서 symbol은 고유한 값을 만드는 것이다.
즉,symbol('test') == symbol('test')는 잘못된것이다. 둘다 각각 다른 값으로 된다.
tostrig()은 문자열로 바꿔서 출력시켜주는 것이다.
다음은 MAP,SET이다.
MAP은 키와 값을 짝으로 저장하는 상자이고
SET은 중복을 허용하지않는 리스트이다.
다음과 같은 값을 작성하고 실행해본다.
그럼 이런 값이 나오는데,
MAP에 저장한 키와 값을 저장하면서
SET으로 값만 저장한 후 꺼내는 코드이다.
'자바웹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웹프로그래밍] 로그인 폼,쿠키 (0) | 2025.05.05 |
---|---|
[자바웹프로그래밍] 화살표 함수, 로그인 창 구현 (0) | 2025.05.02 |
[자바웹프로그래밍] 팝업창 기능추가와 이미지 호버 기능 만들기 (0) | 2025.04.12 |
[자바웹프로그래밍] JS, 검색 기능 만들기,간단한 팝업창 구현하기 (0) | 2025.04.08 |
[자바웹프로그래밍] 네비게이션 바 (부트스트랩) 가져오기 (0) | 2025.04.07 |